배구명문고 다시 꽃피우다,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배구부

서영욱 / 기사승인 : 2018-08-23 20:23: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뜨거운 햇살이 세상을 녹이던 7월 16일, 날씨와는 무관하게 체육관을 뛰어다니는 여고생들을 만났다. 지난 6월 전남 영광에서 열린 2018 천년의 빛 영광배 전국남녀중고배구대회(이하 영광배) 여고부에서 우승을 차지한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이하 일신여상) 배구부 학생들이다.


배구부 창단 45년째를 맞이한 일산여상은 정용하 일신여상·일신여중 총감독 부임 후 3년이 되는 해에 실로 오랜만에 전국대회 정상에 올랐다. 영광배 지도자상까지 수상해 기쁨이 더 큰 정용하 총감독과 우승으로 들뜬 학생들을 만나러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일신여상을 찾았다.


180716HGW_일신여상_인터뷰_훈련15_.jpg




‘기본’을 바꾸다


정용하 감독은 세터 출신 지도자이다. 흥국생명에서 13년간 코치로, 1년간 감독으로 지냈다. 몽골 에나꼬레 배구단에서도 3년간 감독직을 맡았다. 오랜 기간 여자배구와 함께한 정 감독이 이곳 일신여상에 자리잡은지는 3년째이다.


정 감독은 3년 전 일신여상에 왔을 때를 떠올리며 “할까 말까 고민했다”라고 말했다. “3년 전에 왔는데, 고등학교 선수가 열 명이었습니다. 선수가 없었죠. 한 달간 고민했어요. 그러다가 ‘몽골 선수들도 가르쳤는데 한국 사람들을 못 가르치겠는가’라는 생각으로 시작했습니다.”


180716HGW_일신여상_인터뷰_훈련49_.jpg


정 감독은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손봤다. 바로 선수들의 표정. “제가 처음 학생들을 만났는데 다들 표정이 굳어 있었어요. 그래서 처음 한 달 동안 웃는 연습을 시켰습니다. 웃지 않으면 거울 보고 백 번 웃고 오라고 시켰어요. 표정이 밝아야 분위기가 좋잖아요. 제가 장담할 수 있는 게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 팀은 다른 어떤 팀보다 분위기와 표정이 좋아요.” 정 감독의 말처럼 일신여상 학생들은 항상 웃고 있었다. 학년에 상관없이 장난을 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소위 말하는 ‘가족적인 분위기’였다.


“운동도 운동이지만, 아이들이 숙소 생활을 하잖아요. 숙소 생활이 즐거워야 운동도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위계질서를 없앴습니다. 옛날에는 고학년이 야단도 치고, 1학년이 빨래를 다 하는 등 위계가 있었는데, 저는 그런 걸 못하게 했습니다. ‘언니들이 도와주면 더 좋지 않겠느냐’라고 말했죠. ‘내가 1학년 때 당했으니까 내 후배들도 당해야 한다’는 생각은 통하지 않아요. 아이들이 잘 바뀌어 주어서 고맙죠.”


학생들은 내 자식


아버지처럼 아주 기본적인 것부터 손본 정 감독. “학생들이 곧 제 자식이죠”라고 말했다. “아들이 둘 있는데, 17년째 호주에 살고 있어요. 그러니 제가 돌볼 건 우리 학생들뿐이죠. 밖에서 뭘 먹을 때 ‘이거 학생들 갖다 주면 좋아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학생들에게 사랑한다고 꼭 말해줘요. 아이들이 처음에는 쑥스러워서 말을 잘 못 했는데, 계속 말해주니까 자기들도 자연스럽게 ‘선생님 사랑합니다’라고 해요. 유대감이 괜찮아요. 그래서 생각보다 빨리 우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합니다. 최소 5년은 넘게 걸릴 줄 알았거든요.”


180716HGW_일신여상_인터뷰_훈련33_.jpg


사진: 일신여상 정용하 감독


정 감독은 배구 외적인 것에도 신경을 써 준다. “저는 배구가 아니어도 후에 다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편이에요. 다른 목표가 생길 때를 대비해서 대학 진학이나 다른 공부 등, 많은 것을 접하도록 배려해 주는 거죠.” 이런 정 감독의 마음을 전해 받은 학생들과 학부모들도 정 감독을 믿고 무한한 신뢰를 보낸다고 한다.

학교재단과 재학생의 열성지원이 큰 힘




1974년 창단한 일신여상은 여고배구에 전무후무할 역사를 기록한 명문팀이다. 일신여상은 1981년 4월부터 1985년 3월까지 118연승 기록을 남긴 바 있다. 당시 김철용 감독 지휘하에 세터 이도희(현대건설 감독)가 활약했던 시기다.



한국배구사에 한 획을 그었던 일신여상도 근래 성적은 그리 신통치 않았다. 정용하 감독 부임이전에 2012년 전국체전 정상에 오른 게 마지막 우승으로 남았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했던 일신여상에도 암흑기가 존재했다. 현재 V-리그에서 활약중인 조송화, 최수빈, 나혜원, 이재은이 일신여상 출신 선수다.



180716HGW_일신여상_인터뷰_훈련12_.jpg




그랬던 일신여상은 정용하 감독 부임후 3년 만에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정 감독의 남다른 리더십 외에도 학교재단과 재학생들의 성원에 힘입은 바 크다. 일신여상 배구부에 입학하면 교복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 학교 측에서 무료로 제공해준다. 선수들은 또 배구부 숙식에 들어가는 비용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박상욱 이사장님께서 지원을 아끼지 않으세요. 실질적으로 아이들은 배구만 하면 되는 것이죠. 다른 것은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여름마다 놀이공원, 수영장에도 보내주세요.”



뿐만 아니다. 일신여상 학생들이 배구부에 보내는 성원도 열성적이다. “다른 학생들이 배구부를 좋아해서 자발적으로 쌀을 걷어서 주기도 해요. 공양미처럼 걷어서 주는 거예요. 좀 옛날스럽긴 하지만, 학생들이 마음을 전하는 거라 의미 있죠. 배구경기 중계하면 수업시간에 다 같이 보기도 하고, 배구부 학생들에게 선물도 전해줘요. 이런 모든 것들이 모여서 힘이 된 것 아닐까요?”




스포츠과학 접목도 필요




정 감독은 스포츠과학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배구가 수직 운동이라서 타박상, 관절 부상 등이 가장 많아요. 저는 깔창을 중시해서 체형에 맞춰서 맞춤 깔창을 신게 해요. 그러면 확실히 달라요. 부상도 덜 당하고, 몸이 더 편하다고 해요.”



확실히 효과를 본 선수들도 있었다. “초등학교 때부터 배구를 했던 선수인데, 완전히 평발이었어요. 중학교에 오니까 다리랑 발이 아파서 공 열 개도 못 때리게 되었어요. 그래서 맞춤 깔창을 해 주니까 평발이 보완되어서 다시 잘 뛰게 되었고, 키도 더 컸어요. 이런 점에서 스포츠과학의 중요성이 드러나는 거죠. 종합적으로 많은 분야가 발전되어서 배구 하는 학생들에게 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글/ 홍유진 기자


사진/ 유용우 기자



(위 기사는 더스파이크 8월호에 게재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자ⓒ 더스파이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요기사

더보기

HOT PHOTO

최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