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시즌 V-리그 여자부는 관심의 중심에 있었다. 이재영-이다영 재결합을 시작으로 김연경의 국내 복귀까지 화젯거리가 가득했다. 전초전으로 열린 2020 제천·MG새마을금고컵 프로배구대회에서 막강 전력을 구축한 흥국생명 독주가 예상됐지만 GS칼텍스가 흥국생명을 꺾고 우승을 차지함으로써 여자부를 향한 관심은 배가 됐다. 2020-2021시즌 개막을 앞두고 <더스파이크>가 준비했다. 남녀부 각 팀의 전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섯 번째는 지난 시즌 부진을 딛고 재도약을 노리는 IBK기업은행이다.
부진이여 안녕!
새로운 반등 보라!
Strength(강점) 라자레바 그리고 김수지
주전 라인업만 놓고 보면 타팀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 김수지-김희진이 버티는 중앙은 경험과 높이 모두에서 리그 최고를 다툴만한 조합이다. 여기에 외국인선수 드래프트 1순위 라자레바의 합류는 공격력 가뭄을 해결해줄 단비 같은 존재다. 그간 IBK기업은행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던 해결사 역할을 기대할 만한 카드이기 때문이다. 라자레바는 컵대회에 비록 두 경기만 출전했지만 짧은 시간 눈에 띄는 득점력을 자랑한 바 있다. 다만 라자레바는 복근이 찢어지는 부상을 당해 이를 얼마나 빨리 회복해서 정상 컨디션을 찾을 지에 따라 팀 전체 행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세터 조송화가 합류한 것도 변화 요소다. 조송화는 이동공격을 많이 활용하는 세터다. 이동공격에 능한 김수지를 활용하는 공격 패턴이 늘어났다. IBK기업은행에게는 또 하나의 공격 카드가 생긴 셈이다. 조송화와 김수지는 흥국생명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고, 조송화는 김수지와 이동 공격 호흡이 잘 맞았다. 뚜껑을 까봐야 알지만 조송화의 합류는 분명 김수지의 능력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Weakness(약점) 여전히 약해 보이는 WS 라인
지난 시즌 약점인 공격 결정력은 라자레바로 해결할 수 있지만 또 하나의 약점인 리시브 효율은 여전히 IBK기업은행이 안고 있는 숙제다. 보강은 커녕 준수한 리시브 능력을 가졌던 최수빈과 백목화가 팀을 나갔다. 결국엔 표승주, 김주향, 육서영으로 한 시즌을 치러야 한다. 리시브가 흔들리면 원하는 공격 패턴을 전개할 수 없다. 결국엔 리시브에서 버티고 버터야 팀도 반등할 수 있다.
Opportunity(기회) 이제는 뚝심이 빛을 뿜을 때
김우재 감독은 지난 시즌 프로의 쓴맛을 제대로 봤다. 쓴맛을 단맛으로 바꾸기 위해 비시즌 많은 변화를 줬다. 팀 내 레전드 출신 김사니 코치를 데려와 승리 DNA를 선수들에게 주고자 했고, 세터-외인-리베로 자리도 바뀌었다. 컵대회는 정상 전력을 갖고 나선 게 아니었기에 팀 전력을 섣불리 판단하기 힘들다. 실제로 많은 감독은 완전체가 되어 돌아올 IBK기업은행에게 경계심을 보내고 있다. 김우재 감독은 지난 시즌 온갖 풍파 속에서도 뚝심 있게 팀을 이끌고 왔다. 이제는 그 뚝심이 빛을 바랄 때다.
Threat(위협) 부상병동…더 이상 부상자는 안 돼
IBK기업은행의 비시즌 키워드는 부상병동이었다. 김희진과 한지현이 비시즌 부상으로 인해 컵대회도 뛰지 못했다. 라자레바 역시 컵대회 도중 복근이 찢어지는 부상을 당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시즌에도 주축 선수들의 부상이 겹쳐 힘든 한 시즌을 보냈다. 그렇지 않아도 IBK기업은행은 백업 선수층이 얇은 편이다. 부상자가 나오면 안 된다.
X-팩터 육서영
연습경기와 컵대회를 본 배구인들은 육서영의 기량이 발전했다고 입을 맞춘다. 육서영이 터진다면 김주향, 표승주도 체력 안배를 할 수 있다. 중앙 라인과 라자레바도 부담감을 덜 수 있다. 조송화도 공을 뿌릴 수 있는 코스가 많아진다. 다만 육서영의 리시브 능력은 여전히 물음표다. 육서영은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감독의 눈도장을 받을 수 있을까.
BEST & WORST 시나리오
베스트
지난 시즌 최악의 성적을 딛고 명가 재건에 성공한다. 김우재 감독은 2021-2022시즌에도 IBK기업은행 지휘봉을 잡는다.
워스트
라자레바가 복근 부상으로 제 컨디션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베테랑들의 체력 저하도 눈에 띈다. 봄 배구를 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글/ 서영욱, 이정원, 강예진 기자
사진/ 더스파이크
(위 기사는 더스파이크 10월호에 게재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자ⓒ 더스파이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