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배구연맹(FIVB)이 박기원 전 감독에 대해 ‘지칠 줄 모르는 혁신가’라고 언급했다.
박기원 전 감독은 지난 9일 FIVB 공식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 등장했다. FIVB는 “FIVB 기술 및 코칭위원회의 박기원 위원은 선수와 감독으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1970년대 두 번의 올림픽에 출전했고, 지도자로서 약 40년 동안 지내왔다. 지칠 줄 모르는 혁신가다”며 박 전 감독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박 전 감독은 1951년 8월에 태어나 비교적 늦은 시기인 중학교 2학년 때부터 배구를 시작했다. 20세 때 196cm의 장신 선수로 대표팀에 발탁되기도 했다. 1972년 뮌헨올림픽 7위,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 6위에 한국을 올려놓기도 했다.
FIVB 세계선수권에도 두 차례 참가했다. 1974년과 1978년에 한국은 각각 13위, 4위를 차지한 바 있다. 1974년에는 아시안게임에서 은메달을 거머쥐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미들블로커 그는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이탈리아 피네토 발리 유니폼을 입었고, 바로 1982년부터 피네토 발리의 새 사령탑을 맡으면서 제2의 인생을 열었다. 2002년까지 무려 20년 동안 이탈리아 남자, 여자배구리그 지도자 생활을 이어왔다.
그러던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이란 남자배구대표팀의 지휘봉을 잡았다. 이란 대표팀 감독으로서의 첫 해에는 아시안게임 은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 이란은 2003년에도 역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제압하고 아시아선수권 동메달을 차지하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다. 아울러 FIVB는 “박기원 위원은 이란에서 처음으로 헤드폰 기술을 도입해 경기 중 스태프들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도 했다.
2007년에는 한국으로 돌아왔다. 현 KB손해보험인 LIG손해보험의 감독이 된 것이다. 이후 2011년부터 한국 남자배구대표팀 사령탑이 됐고, 2015년에는 토종 아포짓 임동혁을 대표팀에 발탁해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만 16세였던 임동혁이 태극마크를 달면서 역대 최연소 국가대표 타이틀을 얻은 것.
이후 박 전 감독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V-리그 대한항공을 이끌기도 했다. V-리그 최고령 사령탑이라는 기록도 남겼다.
FIVB는 “현재 박기원 위원은 아시아배구연맹(AVC) 코치위원장과 FIVB 기술 및 코칭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FIVB의 말대로 선수 시절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도전해온 박 전 감독이다.
사진_FIVB 홈페이지, 더스파이크DB(박상혁 기자)
[저작권자ⓒ 더스파이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